<아저씨>
사실 그렇게 볼 생각이 없던 영화였다. ㅎㅎ
그런데 지인 언니와 영화를 한편 보기로 했는데 이 영화가 제일 적당해서 보게 되었는데
보는 당시에는, 보고 나서는 영화의 격한 스타일과 나름 진한 감동으로 인해 머리가 어질어질 ;ㅁ;
그런데 지금도 흥행을 달리고 있고, 영화 스틸컷들을 보니
원빈효과인지는 모르겠지만 ㅎㅎ 사진들이 엄청 느와르틱하게 잘 나와서
이 영화 생각보다 괜찮았구나 라는 느낌이 든다. ^^
영화를 보고 나와서 언니에게 물었다.
"아으.. 저런 옆집 아저씨가 어디있대요? 자기가 죽을뻔하면서 옆집 아이를 구하려 하다니.."
언니 왈 "옆집 아저씨잖아...!"
그 표정은 정말 어딘가에 저런 존재가 있을 거라는 , 언니의 진한 휴머니즘에의 신뢰감이었다.
크...
<악마를 보았다>
영화를 보기 전에 다소간 선입견을 갖고 감상했고, 그것이 사실 관람시간내내 지대한 영향을 주었음을 부인하지 못하겠다. ;
등급을 둘러싼 소동과 논란은 조금은 오래생각할 문제니 차치했는데, 그게 아니라, 나의 롤모델스러운 기자이신 김혜리 기자님의 공식 리뷰에서 받은 느낌이 상당히 안좋았던 것이 마음에 걸렸다. 정제된 어법이지만 지독한 비난을 가하고있었다. (영화 감상전이긴 했으나) 그럴 분이 아닌데... 싫다고 하더라도 다이렉트로 표현할 분인데 하고 이상해했는데 다 보고 나고, 지금 글을 쓰는 지금은 그 느낌이 뭔지를 조금 알겠다. (아니 실은 많이 ㅠ)
내친김에 하고 싶은 말을 다 해보겠다. --;
김지운감독은 도대체 이 영화로 뭘 하고 싶어 한 건가?
고어 장르적인 쾌감( 이 말이 좀 거슬리는 분도 있겠지만 엄연한 장르인건 맞다^^)에 있어서는 쿠엔틴 타란티노에 한참 못 미치고,
이병헌,최민식이라는 명배우(나름!)를 데리고 심리적인 공포감을 극대화하고자 했다면, 미안하지만 오스트리아의 미카엘 하케네에 한참 못미친다.
이런 저런 설정과 화면들이, - 물론 한국에서 촬영했으니까 @.@- 한국적인 것은 정말 맞지만..
도대체 뭐하자는건지 모르겠다.
미리 말해두지만 나는 빠순이라고 할 정도로 '김지운'감독의 팬이었다.
휴..... 하지만 이 영화는 정말...
감독의, 다양한 장르실험 욕구만큼은 정말 이해하고... '숏컷'(감독의 에세이집)을 보면 정말 이 분의 재능, 내공은 생각과 다르기도 하고 깊구나 하고 감탄한 본 주인장이지만...
감히 말씀드리건대 꼭 고어를 하고 싶었다면 책을 쓰셨던건 어떨까?!
꼭 한국적 고어를 하셔야만 했던가?
감독 개인에겐 불행하게도 나홍진이라는 걸출한 신인(!)감독이 이미 '추격자'에서 엑기스는 다 해버린 것이다........... --;;
하지만..
초반부 '주연'의 죽음에서의 공포심과 (유영철, 강호순 사건의 리얼한 재현!)
이를 애통해하는 '김수현'(이병헌)의 슬픈 감정만은 정말 진정성이 느껴져서 감동받긴 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게 다다.
ㅠ
아니 그런건 다.. 고어를 실험하려다 이것저것 시도해본것이라고... 팬심 본연의 자세로 받아들인다 해도
너무 긴장감이 없었다.
나만 그런가?ㅠ
장경철(최민식)이 수현에게서 벗어나서 잡아탄 택시,
친구들을 찾아가서 벌어지는 더 기괴한 일들..
재미도 없고 이해도 안되고 무섭지도 않다 .
김지운답지 않게 직접적인 대사들과, 직접적인 상징(symbol)들이,
이 영화는 고어이네~ 한국 최초의 웰메이드 고어를 하려고 진짜 열심이었네~라는 것을
전시(展示)하고 있었다는게 가장 문제다.
정말 이것은 김지운이 아니다..ㅠ
헐리웃에 진출하신다는데... 어쩌면 10여년간 한국에서 영화를 안찍으실수도 있을텐데 (헐리웃에서 잘될수도 있으니까 ^^;) 아...이건 참 아쉬운 마지막 영화라는 생각과 기대가 커서 좀 실망이 컸는지도 모르겠는...
글을 마치며... 그래도 낙관적인 뉘앙스로 끝맺고 싶어 찾아본 영화 코멘터리 현장 사진 중 ...
월드컵 기간의 촬영장 같다...
이러시다가 다시 피비린내 나고 신체절단하는 영화를 찍으시는
어쩌면
스탭들이 더 대단한지도 모르겠다.... !!
(Findng Wang 블로그와 연동)
말씀하시면 http://blog.daum.net/truewriter (& Tistory )
2. 8월 25일 덧붙임.
< 악마를 보았다 >에 대한 외국 전문가들의 반응에 대한 단상
위 의 본인의 '악마를 보았다' 리뷰와는 별도로
갑자기 이런 저런 서양 평론가(영화전문가)들의 반응을 속속(?) 접하니 갑자기 좀 기분이 묘해집니다.
사실 영화를 본 직후에는 불쾌하고 실망해서 아래와 같은 리뷰를 남겼지만
또 지금은 그냥 그렇게 괜찮아진 주인장인지라 ㅎㅎ
어쨌든 감독의 다음 영화에 낚일 준비나 더 잘해야지 하고 있었는데
프랑스, 캐나다의 어떤 평자들은 (잘 기억도 안나는 ;) 엄청난 수식어를 써가며 극찬을 하더니
오늘 씨네21의 모 외국 평론가는 또 폭력성을 걱정한다 블라블라 라는 썰을 푸셨더군요.
사실, 제국주의의 망령이 가시지 않은 영미권에서 우리의 영화의 폭력을 논한다는건
참 뭔가 기분이 좋지 않았습니다.
이래, 저래, 극찬도, 비판도 파란눈의 구미(歐美) 호사가들에 휘둘릴수 밖에 없는 듯한
또 느끼는 이런 현실들에 어쩐지 참 맘이 무거워집니다..
인문학, 사회과학, 정치도 늘 열강들에 (요즘은 잘 안쓰는 용어지만..) 끌려다니는,
지금은 많이 나아졌다고 하지만
옛날의 그런 역사들도 어렴풋이 느껴지고...
그냥 영화한편으로 참 또 오버하고 있다 ;;
극찬도 비난도 좋으니 정말 이해되는,
올곧은 논리의,
그러한 'Debate'(토론)을 볼수 있는 곳은... 정녕 2010년 현재에도 부재한 것일까요..
'Movi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위트 보이스 - 에드리안 브로디, 밀라 요보비치가 멋지게 나오는 (0) | 2010.09.22 |
---|---|
[스크랩] 시놉시스 (0) | 2010.09.03 |
인셉션 (Inception) by 말씀하시면 (0) | 2010.08.09 |
<맨발의 꿈> 김태균 감독, 박희순 주연 by 사나예 (말씀하시면) (0) | 2010.07.07 |
[yes24블로그축제] 로빈 후드 (by 말씀하시면) (0) | 2010.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