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 중 악당이
리암 니슨에게 총을 겨눴는데 미동도 안하자
"아니 이 사람 왜 이렇게 태연해?" 라고 한다.
이 장면을 보는 관객인 나는 화면을 향해 한마디 한다.
'테이큰 아저씨잖아요.'
언젠가부터 리암 니슨 영화는 비슷비슷 해졌다.
비행기 안 '논스톱' 달리는 열차 안 '커뮤터' 가 마지막으로 본 그의 영화들.
그러다 오랫만에 이 영화를 선택했는데
기대 이상으로 참신했다.
스터너.
그는 뉴욕에서 탐정으로 일하고 있다.
어느날 의뢰인을 통해 살인사건을 수사하고 있었는데
자녀 납치라는 동일한 방식의 또 다른 사건을 알게 된 맷.
악당들은 인정사정 봐주지 않고 지저분하고 위험한 상대들이었다.
무엇보다 중요한 우선 과제는
납치된 소녀 루시아의 안위.
전직 경찰이었고 은퇴해 탐정하는 맷은
노련함, 우월한 피지컬,
무엇보다 용감무쌍 함으로
인질을 구하는 일에 뛰어든다.
극 중 케니 라는 인물이 낯이 익은데 댄 스티븐스 였다.
이 작품이 2014작 인데 이후 성장한 듯 하다.
영화는 뉴욕을 배경으로 해서 보는 맛이 있고
매끈한 촬영과 편집이 관람자를 편안하게 이야기에 빠져들게 한다.
7년전 영화로
나름 역주행의 발견하는 짜릿함이 있었다.
리암 니슨 영화가 자기복제를 하지 않고
이야기의 독창성을 추구하길 바래 보았다.
툼스톤 에는
알콜중독자 모임에서 12가지 계명 같은 걸 선포하는 장면이 나온다.
교차 편집으로
극 중 사건 현장하고 병렬 시키는 씬이 있는데
그 기법이 굉장히 좋았다.
그 열두가지 내용을 받아적고 싶을 만큼. (아래에 기재)
지나치기에는 아까운
리암 니슨 쟝르 영화
<툼스톤> 이다.
필름 스피릿
1. We admitted we were powerless over alcohol - that our lives had become unmanageable.
2. Came to believe that a Power greater than ourselves could restore us to sanity.
3. Made a decision to turn our will and our lives over to the care of God as we understood Him.
4. Made a searching and fearless moral inventory of ourselves.
5. Admitted to God, to ourselves and to another human being the exact nature of our wrongs.
6. Were entirely ready to have God remove all these defects of character.
7. Humbly asked Him to remove our shortcomings.
8. Made a list of all persons we had harmed, and became willing to make amends to them all.
9. Made direct amends to such people wherever possible, except when to do so would injure them or others.
10. Continued to take personal inventory and when we were wrong promptly admitted it.
11. Sought through prayer and meditation to improve our conscious contact with God as we understood Him, praying only for knowledge of His will for us and the power to carry that out.
12. Having had a spiritual awakening as the result of these steps, we tried to carry this message to alcoholics and to practice these principles in all our affairs.
https://www.youtube.com/watch?v=M9ed--y10B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