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의용수비대
1952년 4월 20일부터 1956년 12월까지 독도에 침입하는 일본 어선과 순시선 등에 맞서 독도를 지켜 낸 순수 민간 조직. | |||||||||||||||
|
1952년 2월 27일 미국이 독도를 미군 폭격 훈련지에서 제외한 뒤, 6·25전쟁의 혼란을 틈타 독도에 대한 일본인의 침탈 행위가 잦았다. 심지어 같은 해 8월에는 일본인들이 불법으로 독도에 상륙해, 시마네현 오키군 다케시마[島根縣隱岐郡竹島]라고 쓴 표목을 독도에 세우는 등 계속해서 불법 행위를 저질렀다. 독도의용수비대는 독도에 대한 일본의 불법 침탈 행위가 계속되자 일본의 터무니없는 독도 소유권 주장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고, 독도 근해에 나타나는 일본인들을 축출함으로써 일본 어선의 독도 근해 어로 작업 방지 및 울릉도 주민의 생존권 보호를 목적으로 조직되었다. 1953년 4월 20일에 조직되었는데, 이보다 앞서 6·25전쟁에 참여했다가 전상을 입고 특무상사로 전역한 울릉도 출신 홍순칠(洪淳七)은 1952년 가을부터 독도의용수비대를 만들기로 결심하고, 부산으로 가서 단신으로 독도를 지킬 각종 무기와 장비를 구입하였다. 무기와 장비가 갖추어지자, 홍순칠은 1953년 4월 20일 드디어 울릉도 청년 45명으로 독도의용수비대를 조직하였다. 대장은 홍순칠이 맡았고, 편제는 각각 15명으로 이루어진 전투대 2조, 울릉도 보급 연락요원 3명, 예비대 5명, 보급선 선원 5명 등으로 짜여졌다. 이 가운데 3명을 제외하면, 모두 6·25전쟁에 참전했던 전투원 출신이다. 장비는 경기관총 2정, M2 3정, M1소총 10정, 권총 2정, 수류탄 50발, 0.5t 보트 1척 등이다. 나중에 박격포 등을 추가로 구입하였고, 의용수비대원 가운데 자의로 빠진 사람을 빼고 마지막까지 남은 사람은 대장 홍순칠을 포함해 모두 33명이다. 홍순칠은 의용대 조직과 동시에 보트를 타고 독도에 도착해 경비를 시작하였다. 의용대는 같은 해 6월, 독도에 접근한 일본 수산고등학교 실습선을 귀향 조치한 뒤, 7월 12일 독도에 접근하는 일본 해상보안청 소속 순시선 PS9함을 발견하고 경기관총으로 집중 사격해 격퇴하였다. 이 전투가 의용대 최초의 전투이다. 첫 전투에서 장비의 보충이 시급함을 깨달은 홍순칠 대장은 다시 육지로 나가 어렵게 M2 2정과 박격포 한 문을 구입하였다. 이어 8월 5일에는 동도(東島) 바위 벽에 '韓國領(한국령)'이라는 석 자를 새겨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분명히 하였다. 1954년 8월 23일, 독도에 접근하려는 일본 순시선을 총격전 끝에 다시 격퇴한 뒤, 그해 11월 21에는 1,000t급 일본 순시선 3척 및 항공기 1대와 총격전을 벌여 역시 격퇴하였다. 이 전투로 일본 쪽에서 16명의 사상자가 발생해 일본 정부가 한국 정부에 항의각서를 보내기도 하였다. |
'upright 이웃사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3.1운동 알린 테일러家, 3대에 걸쳐 `한국 사랑` (0) | 2016.02.28 |
---|---|
[스크랩] 케냐 대학 `새벽의 비극`.. 알샤밥 총격에 535명 생사불명 (0) | 2015.04.03 |
[스크랩] "가짜 민주주의는 가라" 홍콩도심 메운 분노의 물결 (0) | 2014.09.30 |
[스크랩] [단독] 철로에 떨어진 시민 구하고 사라진 경찰..뒤늦게 알려진 선행 (0) | 2014.02.25 |
[스크랩] 익사위기 대학생 3명 혼자서 구한 의용소방대원 (0) | 2013.07.23 |